![]() |
할머니, 4월 28일 2012 |
우리 할머니는 귀가 잘 안 들리신다.
시골에 갈 때마다 점점 더 안 좋아지시는 귀 때문에 나는 말수가 적어진다.
할머니는 우리 윤청이가 밥은 먹었는지 걱정되셔서 계속 같은 질문을 되풀이하신다.
나는 할머니께 큰 절을 하고 나서는 할 말이 없다.
![]() |
할머니와 아빠, 4월 28일 2012 |
그렇게 잘 안들리는 할머니는 아빠만 만나면 꼭 보청기라도 단 것처럼 잘 알아들으신다.
사람은 귀로만 듣지 않는다. 사람은 마음으로, 영혼으로 교감한다.
할머니와 아들은 저렇게 만지면서 서로의 존재를 확인한다.
![]() |
할머니와 아빠, 4월 28일 2012 |
우리 아빠가 할머니랑 같이 있을 때, 그제서야 우리 아빠가 할머니라는 엄마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곤 한다.
우리 아빠는 할머니에게 언제나 '병진아~'다.
![]() |
할머니, 4월 28일 2012 |
![]() |
할머니의 손, 4월 28일 2012 |
![]() |
할머니의 발, 4월 28일 2012 |
![]() |
할아버지, 4월 28일 2012 |
할머니의 방 창가에는 할아버지가 걸터앉아 계신다.
할아버지는 정정하시던 그 시절의 모습으로 할머니를 바라보고 계신다.
할머니는 혼잣말로 할아버지에게 불평을 늘어놓곤 하셨는데, 인연의 끈으로 맺어진 정은 어찌하실 수 없으셨나 보다.
![]() |
할머니의 방, 4월 28일 2012 |
![]() |
할머니, 4월 28일 2012 |
![]() |
시골집, 4월 28일 2012 |
우리 시골에는 개가 참 많다.
사랑이, 보람이...그리고 나는 이름을 모르는 개들.
모두 아빠를 졸졸졸 따라다닌다.
사랑이는 졸음에 겨워 누워있구나.
![]() |
사랑이, 4월 28일 2012 |
![]() |
할머니와 아빠, 4월 28일 2012 |
할머니와 아빠는 헤어질 때 시간이 많이 걸린다.
할머니가 거동이 괜찮으셨을 때는 밖에 나오셔서 아빠가 탄 차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을 흔들곤 하셨다. 그러면 아빠도 창문을 열고 손을 내미는 것이었다.
![]() |
할머니와 아빠, 4월 28일 2012 |
아빠가 할머니께 우리 가니까 나오지 말라고 말하고 계시는 것 같다.
할머니는 아빠가 가려고 하면 계속 '병진아~'를 연거푸 부르셨다.
오늘도 변함없는 잠시의 이별 과정.
할머니가 아빠를 사랑하는 모습엔 하나의 잡티도 없다.
그저 병진아~라는 순수함만 남아 집으로 산으로 울려퍼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