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주, 3월 20일 2013 |
남부시장 아주머니들이 낮잠을 청하는 모습은 손님이 뜸한 시간에 자주 볼 수 있다.
그런데 오늘은 또 다른 광경이 보였다.
화장하시는 모습이다.
그 동안 아주머니들을 여자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그 이유는 이쁜 여자만 여자라고 치켜세우는 세상에 물들었기 때문일까?
내가 물든건지 그 세상이 곧 나인지 분간이 안 갈 때가 있다.
![]() |
전주, 3월 20일 2013 |
사진은 아무 것도 설명하지 않는다.
세상을 카메라로 찍으면 어떻게 보일 것인지 알기 위해 사진을 찍는다.
By Garry Winogrand
![]() |
전주, 3월 20일 2013 |
사진은 아무 것도 설명하지 않는다. 사진에게 설명을 요구하는 순간, 혼란은 시작된다.
구색 좋은 말맞추기의 향연이 시작된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의 해석이 튀어나온다.
By 박태희
![]() |
전주, 3월 20일 2013 |
나는 내 사진 밑에 글을 다는 것에 대해 상당히 많은 고민을 했고, 지금도 한다.
사진을 찍는 자체가 매우 주관적인 행위인데, 거기에 내 생각을 덧붙이면
한마디로 과유불급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웬만큼 사진과 동떨어진 주제가 아니면 어떤 해석을 해도 사진과 맞는다.
이 순간 사진은 해석의 종이 되어버리고 만다.
![]() |
전주, 3월 20일 2013 |
나 혼자 아무리 이런 생각을 해도 글과 함께하는 사진은 대중들에게 인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포토에세이를 쓸 때는 항상 대중의 입장에서 글을 쓰곤 한다.
결론적으로 '내 개인작업은 글 없이, 그 외의 모든 작업은 글과 함께.'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내 개인작업은 글 없이, 그 외의 모든 작업은 글과 함께.'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 |
전주, 3월 20일 2013 |
하루를 닫는 걸까? 여는 걸까?
![]() |
전주, 3월 20일 2013 |
![]() |
전주, 3월 20일 2013 |
![]() |
전주, 3월 20일 2013 |
윤청이 글과 함께 보는 사진은 사진에 대한 없던 흥미를 생기게 해 주는........!!
답글삭제해석의 종이라기 보다는, 해석과 함께하는..... ㅠ _ ㅠ
답글삭제사진에 대한 해석... 보다
답글삭제사진이 가지는 이야기
혹은 사진을 찍을 때 윤청이라는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면서 찍었을까.
작품은 작가의 영혼을 담는다는데
윤청이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셔터를 누르는 짧은 순간이지만 작가는 평소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
그 짧은 순간에도 드러나는 것 같은데, 그런 사진작가 윤청이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서 사진을 보러 오는 사람도
있지않을까용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