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3. 29.

사람이 필요해, 3월 27일 2013

서울, 3월 27일 2013

눈을 지긋이 감은 여성의 모습이다.
그녀에게 아줌마라는 호칭을 붙이지 않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일일이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나에게 여자, 여성, 아줌마, 어머니는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서울, 3월 27일 2013

 종이에 갈 길이 적혀있는데, 정작 그 종이가 갈 길을 가리고 있지는 않는가? 















서울, 3월 27일 2013

 사람들의 비슷한 행동을 관찰하는 건 아무리 해도 질리지 않는 일이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시대라지만, 사람 사는 모습에 큰 차이가 없다는 걸 알게 되는 순간
같은 인간으로서 얼마나 큰 위안이 되는지 모른다.













서울, 3월 27일 2013

 내사진 중 열에 아홉은 사람이 찍혀있다. 초점이 맞든 안 맞든 말이다.
초점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어떤 사람이 찍혔던지 상관이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나는 사람이 필요할 뿐이다.















서울, 3월 27일 2013

 그 자리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는 그대들이여,
나는 그대들이 이유없이 좋다.















서울, 3월 27일 2013

 나의 시선이 조금은 부정적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개인에 대한 시선이 아니다.
오히려 사람을 둘러싼 배경에 대한 시선이고,
어쩔 수 없는 구조 안에 갇혀버린 사람들에 대한 애정어린 시선이다.















서울, 3월 27일 2013
















서울, 3월 27일 2013

 '사진가가 사진에서 어떤 부분을 아주 어둡게 만들거나, 아주 밝게 만드는 데에는 
분명한 의도가 있다.' 

by Philip Perkis















서울, 3월 27일 2013















서울, 3월 27일 2013

 중요한 곳은 알아서 가리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